이야기캐는광부 스토리텔링연구소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이야기캐는광부 스토리텔링연구소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이야기 은행 (1588) N
    • 강연리뷰 (116)
    • 인터뷰, 사람여행 (18)
    • 강연정보 NEWS (90)
    • 대학시절이야기&노하우 (177)
      • 대학생활팁 (93)
      • 아르바이트리뷰 (16)
      • 좌충우돌 취업이야기 (49)
      • 수능의추억 (19)
    • 책노트 (538) N
    • 청춘 에세이 (213)
      • 일상끄적 (144)
      • 백수일기 (23)
      • 직딩라이프 (45)
    • 독서모임 산책 이야기 (88)
    • 섬청년탐사대 이야기 (11)
    • 낙서툰(toon) (4)
    • 국보순례 문화재 공부 (3)
    • 스토리텔링연구 (130)
      • 스토리텔링노하우 (47)
      • 창작노트 (79)
      • 문장강화 (4)
    • 유튜브 일기 (31)
    • 여행리뷰 (77)
      • 국토대장정일기장 (12)
      • 내일로 여행기 (21)
      • 팔도여행 (14)
      • 해외여행 (30)
    • 공부자료 (45)

검색 레이어

이야기캐는광부 스토리텔링연구소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대학교

  • 국어국문과, 좋았거나 혹은 나빴거나

    2014.06.11 by 이야기캐는광부

  • 취업준비생이 9년된구두를 통해 깨달은 것

    2014.01.28 by 이야기캐는광부

  • 고향친구들

    2012.10.09 by 이야기캐는광부

  • 대입재수 실패하는 행동법칙 6가지, 따라하면 후회한다

    2012.01.06 by 이야기캐는광부

  • 지식융합플랫폼에 대한 단상

    2011.08.25 by 이야기캐는광부

  • '대학교'라는 자판기여! 내게 거스름돈을 달라! -취준생의 넋두리

    2011.06.22 by 이야기캐는광부

  • 대학교 강의실 풍경일지

    2011.03.16 by 이야기캐는광부

  • 책<위대한 설계>가 질문폭풍을 몰고오다

    2011.01.10 by 이야기캐는광부

국어국문과, 좋았거나 혹은 나빴거나

나는 국어국문과를 졸업했다. 흔히 밥굶는 과라고 불리는 국어국문과. 혹자는 국어굶는과라고 한다. 어떤 형은 나를 굶는과에 다닌다고 또박 또박 발음까지 해줬다. 내가 국어국문과를 전공하고 있다고하면 돌아왔던 대답. "형 글 잘쓰시겠네요." "오. 오빠 글 잘쓰시겠네요." 그러면 엷은 미소를 띄우며 그저 묵묵히 웃고만 있었다. 긍정도 부정도 하지 못한채. 잘쓴다고 하기에는 빼어날 정도로 잘쓰지는 않고, 못쓴다고 하기에는 뭔가 좀 그렇고. 저런 반응은 어쨌든 살짝 부담스럽다. "전공이 뭐냐?" "거그 나와서 뭣헐래?" 명절때가 되면 어른들이 물었다. "전공이 뭐냐?" "국어국문과요." 그러면 자동반사처럼 돌아오는 대답. "거그 나와서 뭣헐래?" "(실제)..." '(속으로)아이구 그냥 확...!! 뭣허긴 뭣허..

대학시절이야기&노하우/대학생활팁 2014. 6. 11. 19:30

취업준비생이 9년된구두를 통해 깨달은 것

이 구두로 말할것 같으면 9년전 풋풋한 20살 때 레스토랑 알바를 위해 처음 샀던 구두다. 녀석은 대학교때는 신발장에 쳐박혀 겨울잠을 자다가 취업 시즌이 되자 드디어 기지개를 피고 광을 내기 시작했지. 촌스러운 디자인이긴 하지만 이걸 신고 면접장에 들어갔지. 그러나 면접관은 나의 오랜 구두를 신경쓰지 않았다. 그때 깨달았지. 때빼고 광내고 닦아야 할것은 구두보다는 나만이 보여줄 수 있는 실력이라고. 지금도 출근할때나 퇴근할때는 녀석을 신고다니지. 이젠 구두가 말한다. 네 실력만 갈고 닦지 말고 이젠 자기좀 때빼고 광내주라고. 녀석을 쓰다듬었더니 먼지가 쓰윽. 녀석은 감기가 걸리거나 폐병이 걸리진 않지만 오늘밤엔 구두약좀 먹어야겠다.

대학시절이야기&노하우/좌충우돌 취업이야기 2014. 1. 28. 17:41

고향친구들

'20대 청춘'이라는 말을 쓸 수 있는 날도 그리 많이 남지 않았다.이번 추석명절에 내려가보니 친구들은 저마다의 길을 가고 있었다. 직장을 다니지만 때로는 이직을 꿈꾸고 있는 친구.꾸준히 일해서 돈을 모은후 사업을 꿈꾸고 있는 친구.대학원을 졸업하고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 친구.직장을 그만두고 새로운 길을 찾고 있는 친구.대학교를 졸업하고 구직을 하고 있는 친구. 고등학교때 같은 반, 같은 학교를 나왔지만.이제는 서로 다른 길을 그렇게 가고 있었다. 친구들끼리 점점 얼굴을 자주 볼 수 없다.각자의 바쁜 삶속으로 빨려 들어가고 있다. 서로 만나고 맥주 한잔 기울이고 헤어진 자리에지금쯤 가을바람이 불고 있겠지.그럼에도 명절에라도 볼 수 있는 고향친구들의 얼굴.따스한 봄바람같다.

청춘 에세이/일상끄적 2012. 10. 9. 03:49

대입재수 실패하는 행동법칙 6가지, 따라하면 후회한다

11월 30일 2012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끝나고, 1개월이 좀 넘었네요. 수시에 합격한 학생은 지금쯤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을 것이고, 정시에 지원한 학생들은 걱정반 설레임반일 겁니다. 각 대학별로 가전형은 1월2일~15일, 나군 전형은 (1월16일~26일),다군전형은(1월 27일~2월 3일)에 진행된다고 합니다. 최초합격자는 2월 3일에 발표된다고 하니, 운명의 순간이 얼마 남지 않았네요. 지금쯤 재수하겠다고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는 사람도 있겠죠? 아니면 아무 대학이나 가보자고 결심한채 놀기 바쁜 사람도 있을 겁이다. 제가 그랬던 것 같아요. 흑흑. 저는 현재 20대 후반인지라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한참되었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대학입시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지만, 당사자인 예비 대학생들은 그야말로..

대학시절이야기&노하우/대학생활팁 2012. 1. 6. 06:00

지식융합플랫폼에 대한 단상

이번에 열린 제 1회 지식융합컨퍼런스에서 지식융합플랫폼(www.knowledgekorea.kr) 구축 시연회가 있었다고 한다. 각 분야 전문가들의 강연영상들을 하나의 사이트에 모아 지식을 축적하려는 프로젝트인가보다. 개인적으로 참 좋은 프로젝트라는 생각이 든다. 한 시대를 살아가는 저명인사들의 지혜와 노하우를 일반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면, 더불어 그 지식들이 영상 혹은 기타 자료를 통해 후세에 전달될 수 있다면 분명 가치있는 일이리라. 인문,기술,경제,경영,문화,예술,글로벌 이슈 등 20분 이내의 강연을 모아서,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하고 통섭적인 지식축적을 가능하게 만들예정이라고 하니 무척 기대된다. 미국의 TED.COM이나 숙명여대의 후원으로 진행되는 SNOW.OR.KR 과 같은 사이트가 많아..

강연리뷰 2011. 8. 25. 06:06

'대학교'라는 자판기여! 내게 거스름돈을 달라! -취준생의 넋두리

 "'대학교'라는 자판기여! 내게 거스름돈을 달라!" 졸업을 앞두고 있는 제가 대학교에게 하고 싶은 말입니다. 대학교는 자판기입니다. 똑같거나 비슷한 상품들을 진열해 놓은 자판기지요. 그런데 어떻게 만들어 놨는지, 거스름돈을 뱉어 낼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이 자판기에는 '학점'이라는 탄산음료수, '졸업장'이라는 맛좋은 과자, '학벌'이라는 이상한 제목의 책이 들어있어요. 전국 수십만명의 대학생들이 이 자판기에 수백만원 혹은 수천만원을 집어 넣었습니다. 그런데 이게 무슨 시추에이션일까요? 반환레버를 돌렸는데도, 거스롬돈이 나오질 않습니다. 어떨 때는 학점도 안나와요. 졸업장이 나오려면 3초가 아닌 4년에서 7,8년이 걸려요. 이 자판기, 고장 난 거 맞죠? 어디다 전화해야 될까요? 청와대? 총장실? 과..

대학시절이야기&노하우/대학생활팁 2011. 6. 22. 06:00

대학교 강의실 풍경일지

강의실에 들어서자, 칠판은 변함없이 그 자리에 있고, 이어서 등장한 교수님의 손에는 출석부가 들려 있다 나의 존재를 묻는 유일한 시간 그것은 바로 교수님이 출석을 부르실 때이다 내가 학교에 왔는지 내가 강의실에 왔는지 내가 이 세상에 존재하는지 묻는 시간이다 물론 내 존재의 깊은 곳 까지 묻지는 않는다 어떤 꿈을 가지고 있고 어떤 일을 하고 싶고 무엇을 사랑하는지 묻지 않는다 물론 그런 수업이 아니라서 그렇다 그런데 대학교안에 그런 수업이 없다 출석을 다 부를 때쯤 헐레벌떡 뛰어오는 학생이 있다 그 학생은 쉬는 시간에 오란다 그 학생은 지금 당장 자신의 존재를 확인받고 싶어하는데 .... 출석을 부르고 나면 각자의 공상으로 여행을 떠난다 누군가는 칠판을 보며 열심히 수업을 듣지만 또 누군가는 어믄 짓을 ..

대학시절이야기&노하우/대학생활팁 2011. 3. 16. 13:47

책<위대한 설계>가 질문폭풍을 몰고오다

책를 읽으며 수백년간 인류를 괴롭혀 왔던 질문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생명은 신으로부터 창조되었을까? 아니면 우주가 스스로 만들어낸 것일까? 이 책 거의 마지막에 다음과 같은 문장이 나온다. 저자인 스티븐 호킹과 레오나르드 믈리노프의 결론이 담긴 부분이다. 중력은 공간과 시간의 모양을 결정하므로 시공이 국소적으로는 안정적이 되고 광역적으로는 불안정적이 되는 것을 허용한다. 우주 전체의 규모에서 양의 물질 에너지는 음의 중력 에너지와 균형을 이룰 수 있고, 따라서 우주 전체의 창조에 제약이 없다.(나는 이 부분을 100%이해하지 못했다.^^;) 중력과 같은 법칙이 있기 때문에, 우주는 제 6장에서 기술한 방식으로 무로부터 자기 자신을 창조할 수 있고 창조할 것이다. 자발적 창조야말로 무가 아니라 무..

책노트 2011. 1. 10. 06:30

추가 정보

인기글

  1. -
    -
    독서노트(515)카카오페이카드2 사고 싶네

    2020.09.15 09:39

  2. -
    -
    독서노트(516) 마스크가 말해주는 것들

    2020.09.19 11:25

  3. -
    -
    독서노트(518)뉴미디어 전문가 정혜승이 말하는 소통전략

    2020.09.19 23:08

  4. -
    -
    독서노트(507)레 꼬또 꼬뜨뒤론 빌라쥐

    2020.09.11 20:30

최신글

  1. -
    -
    독서노트(539) 토스 금융다큐멘터리, 오! 좋다

    책노트

  2. -
    -
    독서노트(538)잭 케보키언 죽음의 기계

    책노트

  3. -
    -
    공부의 즐거움

    일상끄적

  4. -
    -
    입관식

    일상끄적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이야기캐는광부 스토리텔링연구소 ©김기욱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